참고 문서 : 철근 배근 가이드라인 작성을 통한 배근시공도 작성 기준연구 (LH) 철근 피복두께에 대해 가시적으로 표현이 잘되어 있다. 1.피복두께 철근의 최외단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최소길이 2.피복두께 확보 목적 내화성 -> 화재시 고온으로 부터 철근을 보호 부착력 -> 철근의 부착강도 확보(뽐힘철근) 쪼갬팍회ㅏ 골재의 유동성 -> 콘크리트 타설시 골재의 유동성 확보 및 콘크리트와 철근과의 밀실한 충진 철근의 부식 방지 -> 수분과 산소의 차단으로 콘크리트 중성화 및 철근의 부식 방지 ※ 콘크리트 중성화 : Ca(OH)2 + CO2 → CaCo3 + H2O ※ 철근의 부식 : Fe + CO2 → 산화철 3.현장에서 철근 피복두께 관리 방안 1. 철근 배근시 스페이셔 관리 철저 2. U바 혹은 띠철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