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문서 : 철근 배근 가이드라인 작성을 통한 배근시공도 작성 기준연구 (LH)
철근 피복두께에 대해 가시적으로 표현이 잘되어 있다.
1.피복두께
철근의 최외단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최소길이
2.피복두께 확보 목적
내화성 -> 화재시 고온으로 부터 철근을 보호
부착력 -> 철근의 부착강도 확보(뽐힘철근) 쪼갬팍회ㅏ
골재의 유동성 -> 콘크리트 타설시 골재의 유동성 확보 및 콘크리트와 철근과의 밀실한 충진
철근의 부식 방지 -> 수분과 산소의 차단으로 콘크리트 중성화 및 철근의 부식 방지
※ 콘크리트 중성화 : Ca(OH)2 + CO2 → CaCo3 + H2O
※ 철근의 부식 : Fe + CO2 → 산화철
3.현장에서 철근 피복두께 관리 방안
1. 철근 배근시 스페이셔 관리 철저
2. U바 혹은 띠철근 배근시 피복두께 확보 하여 배근
3. 아파트 기준층 알폼거푸집 조립전 타이핀 간섭에 의한 철근 휀손에 유의 하여 배근
4. 구조체에 문양 적용시 문양형상에 유의하여 구조체 두께 키우기
띠철근 피복두께 부족
띠철근배근시 후속공종 및 타설시 이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속 한다.
→ 피복두께 부족시 외기의 수분이 침투하여 철근에 녹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가 떨어져 나가 외부 혹은 내부로 녹물이 발생됨.
외부 문양 두께를 고려한 철근 스페이셔
피복두께 40mm + 문양 20mm = 스페이셔 60mm 적용
갱폼폼타이 시공시 벽체 수평근과 간섭안되게 조정 혹은 보강
→ 철근배근후 알루미늄거푸집 설치팀에서 폼타이 시공시 철근과 간섭이 되면 철근을 휀손하고 배근을 함. 따라서 구조적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있으면 설계사와 협의 후 조정하여 진행.
→ 알폼조립이 들어가면 검측이 끝났더라도 공사담당자는 필히 확인이 필요함.
이 부분은 현장에서 많이 놓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폼타이시공시 철근간섭으로 철근 훼손
→ 이 상태로 거푸집조립 후 콘크리트 타설시 구조적 문제 발생.
각구조물 부위 별 철근의 피복두께
'공동주택 > 골조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진이 적용된 구조체에 대한 철근이음과 적용방법 (0) | 2023.04.11 |
---|---|
동절기공사 고체연료 사용기준(메탄올, 에탄올) (0) | 202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