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토공사,지정공사

파일공사 재하시험 기준

감자대리 2022. 10. 23. 09:25

 

파일공사 중 소요 지지력과 파일의 건전도를 파악하기 위해 필수 적인 요소인 재하시험 횟수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현장별로 또는 감리단별로 매번 현장에서 상이하게 적용 하여 시시비비가 많이 갈리기도 하지요. 

 

우선 우리나라의 기준은 총 2가지 기관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구조물기초설계기준(한국지반공학회)이 있는데, 이번은  KCSC(국가건설기준센터)에서 정한 기준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첫번째, LH전문시방서(11 50 40 말뚝재하시험)

 

두번째, 깊은기초 설계기준(일반설계법) KDS 11 50 15 :2021


 

 

 

1. LH전문시방서(11 50 40 말뚝재하시험)

 

        → 초기항타 2본, 초기항타에 대한 재항타 2본 그리고, 본항타 때 2본 총 구조물별 4번을 실시. (단, 표에 정해져 있는 시험 갯수가 전체말뚝의 1%미만인 경우는 1%이상으로 조정)

 

반응형

 

 

2. 깊은기초 설계기준(일반설계법) KDS 11 50 15 :2021

 

       → 동재하 및 정재하 시험 횟수는 전체 말뚝의 1%이상 반영. 정재는 0.1%로 임의로 적용.

 

 

3. 예제 

 

 

이렇게, 표준시방과 전문시방 간의 갯수 차이가 발생되어 발주처와 감리단과의 의견차이가 발생 되고 있습니다. 

"파일공사" 발주 혹은 "재하시험 "발주시 제일 많은 횟수로 산정하여 발주하고 본 공사시는 감리단과 협의 하여 본공사 진행하시면 됩니다. 

 

 한 동당 시항타 2번, 시항타에 대한 리스트라이크 2번, 본항타 2번 임으로, 파일 공수 기준으로 한 동당 총 4공 입니다.

 

 

 

 

 

관련기준 

 

LHCS 11 50 40 말뚝재하시험.pdf
0.27MB
KDS 11 50 15 깊은기초 설계기준(일반설계법).pdf
0.45MB

 

 

2022.10.01 - [자/토공사,지정공사] - 어스앵커 인장시험 갯수

 

 

 

 

 

 

 

 

반응형

'공동주택 > 토공사,지정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사반출 기준과 사토처리계획서  (2) 2024.05.05
평판재하 시험 횟수  (0) 2022.10.24
어스앵커 인장시험 갯수  (2) 2022.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