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8

토사반출 기준과 사토처리계획서

공사현장에서의 토사반출시 알아야될 사항관련법규 1. 농지법 제2조(정의) 2. 농지법 시행규칙 제4조의2(농지개량의 범위) 별표1 3.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51조(개발행위허가대상) + 각 지자체 도시계획조례우선 토사가 반출되려면 반출된 흙을 받을 토지주의 승낙이 필요하고 현장내 토양에 대한 시험 "토양오염공정시험"을 진행해야 한다. 대부분의 토사는 농지법 기준의 "과,전,답'으로 반출되서 토지주가 토지개량을 함으로 토양오염공정시험은 필수적이다. 때때로 토사가 기준치 이상의 중금속이나 기타 오염물로 인해 시험을 통과를 못한다면 토사를 정화시켜야 하는데 대부분이 발주처에 진행[도급계약서 참고]을 하고 수천만원에서 수개월이 소요 됨으로 필히 공사착수전 토양오염공정시험을 사전에 해야한다. ..

[골조공사] 철근의 피복두께_현장실무

참고 문서 : 철근 배근 가이드라인 작성을 통한 배근시공도 작성 기준연구 (LH) 철근 피복두께에 대해 가시적으로 표현이 잘되어 있다. 1.피복두께 철근의 최외단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최소길이 2.피복두께 확보 목적 내화성 -> 화재시 고온으로 부터 철근을 보호 부착력 -> 철근의 부착강도 확보(뽐힘철근) 쪼갬팍회ㅏ 골재의 유동성 -> 콘크리트 타설시 골재의 유동성 확보 및 콘크리트와 철근과의 밀실한 충진 철근의 부식 방지 -> 수분과 산소의 차단으로 콘크리트 중성화 및 철근의 부식 방지 ※ 콘크리트 중성화 : Ca(OH)2 + CO2 → CaCo3 + H2O ※ 철근의 부식 : Fe + CO2 → 산화철 3.현장에서 철근 피복두께 관리 방안 1. 철근 배근시 스페이셔 관리 철저 2. U바 혹은 띠철근..

내진이 적용된 구조체에 대한 철근이음과 적용방법

[내진 설계가 반영된 철근의 이음 과 재료] 기준 : KDS 41 17 9.3.1 철근의 재료 (1) 모멘트골조부재, 벽체의 경계요소, 연결보에 사용되는 주철근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성능을 가지는 한국산업규격의 내진용 철근(SD400S, SD500S, SD600S)을 사용해야 한다. ① 철근의 인장강도는 항복강도를 일정이상 초과하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② 철근의 실제 항복강도는 설계기준 항복강도대비 과도한 강도를 나타내서는 안 된다. ③ 철근은 충분한 신장율을 나타내야 한다. 기준 : KDS 41 17 9.3.2 철근의 이음 및 정착 (1) 보와 기둥의 소성힌지구간에서는 겹침이음과 용접이음이 허용되지 않는다. (2) 기계적이음의 강도는 철근의 강도보다 커야하며, 이음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하지 않..

동절기공사 고체연료 사용기준(메탄올, 에탄올)

유독물질 기준변경 내용 [동절기 공사 고체연료 사용 기준 변경!!] 구분 고시일 유독물질(화학물질의 명칭) 당초 21.12.28 메틸 알코올(67-56-1) 및 이를 85%이상 함유한 혼합물 개정 22.10.06 메틸 알코올(67-56-1) 및 이를 10%이상 함유한 혼합물 ▶ 시행일 : 2023년 01월 06일(금) ▶ 시행일 이전 메탄올(고체연료) 반입 및 취급한 사업장은 24년 1월 1일까지 유예 기반입 되어 건설현장 등에 사용시에는 1. [허가 및 관리 대장 유해물질의 제조 또는 취급작업] 특별안전보건교육 실시 2. 물질안전보건교육 및 물질안번보건자료 게시 3. 작업환경측정 및 취급자 대상 배치 전 건강검진 실시 위 3개 사항을 준수해서 적업에 임해야 됩니다. 주요벌칙 화학물질관리법 제59조(벌칙..

평판재하 시험 횟수

지내력기초구간은 설계도서에 명시 되어 있는 지내력값을 만족을 하여야 합니다. 때문에 현장에서는 평판재시험을 실시 하지요. 평판재하시험은 고속도로 전문시방서에 나와 있습니다. 고속도로 전문시방서_ 얕은기초 EXCS 11 50 05 :2021 최소 3개소 이상 실시 항상 현장에서 감리분들과 시험횟수를 정하면서 의견이 많이 갈리곤 합니다. 구조부재별 최소3개소 실시 [공동주택 기준] 1. 기초 형식에 따라 각각 3개소 반영하여 횟수 산정 2. 작업 조닝별 횟수 분개 및 추가(필요시 추가) 3. 주차장 지붕층에 일부 걸쳐지는 기초구간 횟수산정 (ex: 관리사무소, 근린생활시설 등 부대시설) 4. 평면도에 시험위치 및 횟수 산정하여 감리단에 시공상세도로 제출. 최소3개소 실시라는 의미를 구조부재별 3개소로 확대 ..

반응형